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

범죄자는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범죄자는 환경에 의해 결정된다?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성격이나 좋은 두뇌가 무엇으로 결정되는지에 대해 오래전부터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앞서 소개했던 '태어날 때부터 범죄자'라는 생각은, 우리의 성격이나 좋은 두뇌가 태어날 때부터 결정된다는 이론 중 하나의 극단적인 사례다. 이와 같은 이론을 '생득설'이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인간은 태어날 때는 동등하며, 성격이나 좋은 두뇌를 결정하는 것은, '어떠한 환경에서 자라나는가?' 하는 이론이 있다. 이를 '경험설'또는 '환경설'이라고 한다. 환경설로 유명한 사람이 20세기 초의 미국인 심리학자 왓슨이다. 왓슨은 원래 흰쥐를 무서워하지 않던 갓난아이에게, 흰쥐를 볼 때마다 커다란 굉음을 들리게 하였다.   이 단순한 실험을 통해, 그 갓난아이에게 흰쥐를.. 2025. 4. 10.
범죄자는 타고난다? 범죄자는 외관을 보면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전 중시의 사상은, 범죄정신의학의 선구자였던 롬브로즈에 의해 '태어날 때부터 범죄자'라는 생각으로 전개되어 나갔다. 롬브로즈는 유전 또는 진화론의 사상을 근거로, 범죄자가 될 사람은 처음부터 결정되며, 그 증거는'조상회귀'의 특징으로 신체에 나타난다고 생각했다.   '조상회귀'의 특징은 침팬지 등 유인원의 특징을 말한다. 예를 들어, 턱이 크고 머리의 크기에 비해 얼굴이 눈에 띄며, 팔이 길고, 어려서도 이마에 주름이 많다든가, 통증에 둔감하다든가 하는 것이다. 당시 유럽에서는 이러한 신체 특징을 지니면 증거가 부족하더라도 체포되거나, 형사재판에서도 불리한 처지에 놓였다.   즉, 사람을 겉모습으로 판단했던 것이다. 더 나아가 롬브로즈는, 범죄예방을 위.. 2025. 4. 9.
선악을 판단하는 기준 '마음'의 정체는 무엇인가   초등학생이 무인매장에서 태연하게 물건을 훔치고, 10대 소녀가 돈 때문에 원조교제를 하고, 단순히 자기 기분 때문에 사람을 죽이는 등, 도저히 우리 상식으로는 이해가 가지 않는 범죄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반면, 마침 우연히 지나가던 사람이 강에 빠진 아이를 구해내거나, 누구에게 부탁받지 않았는데도 아무런 대가 없이 자원활동을 하는 사람이 있기도 하다.   물론, 나쁜 일만 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좋은 일만 하는 사람도 있다 평소엔 온후하고 인망도 두터웠던 사람이, 알고 보니 범죄에 손을 대고 있었다는 식의 일도 그리 드문 일이 아니다. 의도적으로 나쁜 짓을 하려고 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다른 사람의 시선이 없을 때 규칙을 위반하는 때도 자주 있는 일이다.   우리는 사회 .. 2025. 4. 8.
의욕의 원천 '자기효력감' 보상이 의욕을 잃게 하는 경우   동기부여에서 보상이라는 것은 양날의 검과 같다. 아이의 활동에 대해 보상함으로써 역으로 아이가 지닌 본래의 의욕(내발적 동기부여)을 박탈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린과 레퍼라는 심리학자가 했던 유명한 실험이 있다.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 유치원생을 많이 모집한다. 이 아이들은 유치원의 자유놀이 시간에 그림 그리기를 많이 하는 아이들이다.   내발적 동기로 그림을 그리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아이들을 A와 B,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을 한다. A그룹의 아이들에게는 '그림을 그리면 상을 주겠다'라는 말을 사전에 전한다. B그룹의 아이들에게는 아무 얘기도 전하지 않는다. 그런 뒤, 두 그룹의 아이들에게 실험실에서 그림을 그리게 한다.   실험이 끝난 후, A그룹.. 2025. 4. 7.
의욕을 만들어 내는 것 동기부여   요즘 아이들은 핸드폰게임을 매우 좋아한다. 휴일이 되면,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핸드폰게임에 빠진 아이도 있다. 부모로부터 그만하라는 소릴 들어도, 부모 말을 따르기는커녕, 점점 더 빠져드는 아이도 있다. 핸드폰게임을 했다고 해서 다른 사람에게서 칭찬받을 일도 없고, 뭔가 보상이 따르는 것도 아닌데도, 아이들은 스스로 원해서 게임을 한다.   이처럼, 칭찬받거나 뭔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과는 관계없이, 자기가 스스로 원해서 하고자 하는 동기부여를 '내발적 동기부여'라고 한다. 게인에 열중하고 있는 아이들은 핸드폰 게임이라는 것에, 내발적으로 동기가 부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에게 보상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핸드폰게임을 한다는 그 자체이거나, 재미있게 놀았다는 만족감일 것이다.   .. 2025. 4. 6.
원인귀속의 경향과 대책 -투신영업이란 것이 원래 어렵기 때문임을 선택한 사람   '누구한테나  투신영업이란 건 어려운 일이지', '다른 건 하겠는데, 투신영업은 정말 무리야'라고 생각하는 경우, 원인의 귀속대상은 '과제의 난이도'이다. 첫 번째 회사로부터 거절당한 것은 자시의 능력이 낮아서도 아니고, 자신의 노력이 부족해서도 아니다. 투신영업이란 방법이 원래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신의 실패를 과제의 난이도로 귀속하는 것은, '그래서 다음번에도 잘 안될 것이다'라는 부정적인 기대를 낳게 된다. 왜냐하면 과제의 난이도는 자신의 능력이나 노력으로는 어쩔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다음 회사를 방문하는 동기부여는 역시 낮아질 것이다.   다시 한번 말하자면, 주어진 과제의 난이도라는 것은 자신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가.. 2025.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