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부여
요즘 아이들은 핸드폰게임을 매우 좋아한다. 휴일이 되면,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핸드폰게임에 빠진 아이도 있다. 부모로부터 그만하라는 소릴 들어도, 부모 말을 따르기는커녕, 점점 더 빠져드는 아이도 있다. 핸드폰게임을 했다고 해서 다른 사람에게서 칭찬받을 일도 없고, 뭔가 보상이 따르는 것도 아닌데도, 아이들은 스스로 원해서 게임을 한다.
이처럼, 칭찬받거나 뭔가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것과는 관계없이, 자기가 스스로 원해서 하고자 하는 동기부여를 '내발적 동기부여'라고 한다. 게인에 열중하고 있는 아이들은 핸드폰 게임이라는 것에, 내발적으로 동기가 부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들에게 보상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핸드폰게임을 한다는 그 자체이거나, 재미있게 놀았다는 만족감일 것이다.
이에 반해, 다른 사람에게 칭찬을 받거나, 보상을 받고 싶어 하는 활동이 있다면, 그것은 외발적으로 동기 부여된 활동, '외발적 동기부여'라 할 수 있다. 여기 핸드폰 게임은 좋아하지만, 공부는 싫어하는 아이가 있다. 이 아이는 부모로부터'공부해라'는 말을 듣는 것만으론 좀처럼 공부하질 않는다.
이에 난처해진 부모는 "매일 공부 열심히 하면, 게임 시간을 늘려 줄게"라고 말을 한다. 이렇게 되면, 이 아이는 공부를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때의 아이는 게임을 더 할 수 있는 외발적 동기를 토대로 공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외발적 동기부여는 외부로부터 우리를 어떤 활동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보상이 주어지니까 한다. 하지 않으면 벌을 받으니까 한다와 같은 것이다.
물론, 그것이 외발적 동기부여라 해도, 하지 않는 것보단 나을 수 있다. 그러나, 외발적 동기부여를 토대로 한 행동 대부분은 그때뿐일 수 있다는 것이다. 상으로 게임을 더 할 수 있는 시간을 받으면, 다음번에도 상을 준비하지 않을 경우, 아이는 다시 공부에서 멀어질 것이다.
이와 반대로, 내발적 동기부여의 경우에는, 핸드폰 게임에 빠진 아이와 같이, 그 활동에 열중하는 자체가 보상이 되는 셈이다. 따라서, 언제까지고 높은 동기부여의 지지로, 그 활동은 계속 유지되는 것이다.
하는 동안 재미있다
아이가 가사를 도와주어서 간식을 준다. 아이의 시험 성적이 좋아서 칭찬해 준다. 이와 같이, 어떤 활동에 대해 보상을 주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다. 그리고 보상을 주는 것 자체가 나쁜 것도 아니다. 처음엔 간식을 먹을 수 있어서 어머니를 도와주던 아이가, 도움 그 자체에 재미를 느낄 수도 있다.
부모님에게 칭찬받고 싶어서 필사적으로 공부하던 아이가, 언젠가부터 공부 그 자체에 재미를 느끼게 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앞의 외발적 동기부여에 근거한 행동은, 대부분 그때뿐이라고 말했는데, 예외도 있다. 처음엔 보상을 목적으로 한 외발적 동기였다 해도, 그 활동을 하는 동안에, 활동 자체에 재미를 느끼는 때도 있다.
이처럼 처음에는 외발적이었던 활동이 내발적인 것으로 변화한 현상을 심리학에서는 '기능적 자율'이라 부른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악을 판단하는 기준 (0) | 2025.04.08 |
---|---|
의욕의 원천 '자기효력감' (0) | 2025.04.07 |
원인귀속의 경향과 대책 (0) | 2025.04.05 |
의욕의 원동력 '인지 스타일' (0) | 2025.04.04 |
포기의 이유 (0) | 2025.04.03 |